29 min read

영문서체에 대하여-산세리프와 세리프의 차이

영문서체에 대하여-산세리프와 세리프의 차이

안녕하세요. 왕초보 여러분! 마라입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영문서체에 관련된 여러 용어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용어들은 타이포그래피를 전문적으로 시도하지 않더라도 알아두면 좋을 내용이니 꼭 끝까지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영문서체에 대한 내용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서체 Typeface 란?

서체 Typeface (문자 모음 type families 또는 글꼴 모음 font families 이라고도 함)란 Times New Roman, Adobe Garamond 와 같이 글자 및 기호가 서로 비슷한 특징을 가지도록 디자인 되어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된 문자로, 전체적인 모양이 유사한 글꼴들의 모음입니다. 따라서 글꼴의 상위 개념이라 하겠습니다.

많은 경우 글꼴, 서체, 폰트, 타입페이스 등의 단어가 구분 없이 동의어로 혼용되어 혼동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영어의 서체 Typeface 와 글꼴 Font 은 미묘하게 구별되는 의미를 가지는 별도의 단어입니다.

서체 Typefaces 에는 키보드에 없는 많은 문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글꼴에 따라 이러한 문자에는 연자 ligatures, 분수 fractions, 스와시 swashes, 장식 ornaments, 서수 ordinals, 제목 titling, 문체 대체 stylistic alternates, 위 첨자 superior characters, 아래 첨자 inferior characters, 이전 스타일 모양 old‑style figures, 선 모양 lining figures 등이 포함됩니다.

서체에 포함되는 문자들 | 원본 fontspring.com

활판인쇄 시대에는 일관성을 갖춘 한 글자꼴의 집합을 타입페이스, 한 타입페이스의 활자 모듬 중 같은 크기 활자 모둠 한 벌을 폰트(font), 그리고 인쇄를 위해 갖추어진 여러 크기와 스타일의 폰트들을 통틀어 폰트패밀리(font family)라고 하였습니다. 과거 유명한 프랑스의 활자 제작자인 클로드 가라몽(Claude Garamond)의 디자인을 따른 가라몽/개러몬드 Garamond 스타일의 활자 모둠 전체를 개러몬드 타입페이스 Garamond Typeface 라고 부르고, 여러 크기의 글꼴 모둠 중 특정 포인트 크기의 글자를 인쇄하기 위한 활자 한 벌은 폰트(font)라고 불렀습니다. 이 구분 안에서 폰트는 12포인트, 18포인트, 21포인트, 24포인트 등 여러 크기의 폰트가 각각 갖추어져 있었습니다. 이렇게 본문을 인쇄하기 위한 레귤러 폰트, 강조를 위한 이탤릭 폰트, 장/절의 제목을 인쇄하기 위한 볼드 폰트를 통틀어 개러몬드 패밀리(family)라고 하였습니다. 서체란 기본적으로 같은 디자인 원칙에 기반하여 디자인된 수천여개의 금속 블록들을 표현하는 단어입니다.

서체 Typefaces | 원본 Unsplash

서체와 폰트 패밀리

하지만 사진식자의 등장 이후 하나의 원본 필름을 이용해 렌즈를 이용, 광학적으로 여러 크기의 글자를 인쇄할 수 있게 되면서 차차 타입페이스와 폰트는 용어의 구분이 의미가 없어졌고, 컴퓨터 출판의 도입 이후 디지털 인쇄에서는 글씨 크기를 키우고 줄이는 것이 매우 쉬운 일이 되었기 때문에 타입페이스와 폰트를 엄격하게 구분하는 용어의 의미가 없어졌습니다. 두 단어의 혼용이 일어나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고 혼동한다고 해서 사실상 사용상의 문제는 없습니다. 활판인쇄 시절에는 다른 크기의 글꼴을 찍기 위해서는 해당 크기의 활자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구분했던 단어였기 때문입니다. 이제 일반적으로 서체, 글꼴이라 말하면 컴퓨터에 설치하여 문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문자꾸러미 파일을 지칭하게 되었습니다.

서체의 구성요소

서체 Typeface의 구성은 세리프 serif, 애퍼처 aperture, 어센더 ascender, 베이스라인 baseline, 캡 하이트 cap height, 디센더 descender, 리딩 leading, 문자 간격 letter-spacing, 스템 stem, 획 stroke, X 높이x-height 등 다양하고 구별되는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서체의 구성요소 | 원본 designmodo.com

세리프 serif : 글자와 기호를 이루는 획의 일부 끝이 돌출된 형태

산 세리프 San serif : 글자에 돌출된 모양이 없는 것

애퍼처 aperture : 획에 의해 둘러싸인 흰 공간White space 이 여백과 연결되는 통로, 대문자 ‘C, G, S’나 소문자 ‘a, c, e’ 등에서 나타남

어센더 ascender : 소문자에서 윗쪽 평균선 (가상선) 너머로 튀어나온 부분으로 소문자 중에서 X높이를 초과하는 부분

베이스라인 baseline : 타이포그래피에서 알파벳 글자가 나열되는 기준선. 각 폰트마다 그 폰트만의 베이스라인 Baseline 을 가지고 있으며 알파벳의 글자들이 모두 기준선을 기준으로 나열됨

캡 하이트 cap height : 맨 윗부분이 평평한 대문자의 높이

캡 라인 cap line : 대문자 가장 윗부분의 기준

디센더 descender : 소문자의 몸통(body) 부분을 기준으로 하단에 나타나는 획을 말하며, 소문자 ‘g, j, p, q, y’ 에서 나타남

행간, 리딩 leading : 글줄과 글줄의 사이 간격(베이스라인과 베이스라인 사이 간격)

자간, 레터 스페이싱 letter-spacing : 글자간의 간격

스템 stem : 글자를 이루는 획 중 세로로 길게 뻗은 획을 말하며 글자 내부에서 가장 굵은 획

획 stroke : 글자를 이루는 획

X 높이x-height : 각 글자의 아랫 맞춤선이 되는 베이스라인과 소문자의 상위 평균 맞춤선이 되는 가상선 사이의 거리

트래킹 Tracking : 글자 사이 간격을 균등하게 늘리거나 줄이는 행위

커닝 Kerning : 글자의 모양 때문에 활자가 고르게 배열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경우 글자 모양에 따라 적당한 간격을 두게 조정하여 시각적으로 매끄럽게 보이게 하는 행위

서체의 분류

서체를 검색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서체를 검색 할 때에 많이 사용되는 분류를 정리했습니다. 이외에도 다른 분류가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류를 골라 보았습니다. 알파벳을 사용하는 로만 서체에 대한 분류 기준으로 복스 분류 Vox-ATypI 가 있습니다. 이 분류에 대해서는 다른 글에서 다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세리프 Serif

세리프 Serif 란 가는 장식 선이라는 뜻으로, 로마 시대 석공이 글자를 더 보기 좋게 하려고 돌판에 새겨진 글자 획을 장식적인 삐침 요소인 세리프로 끝맺음한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동양 문화권의 한자에서는 획의 시작이나 끝, 꺾이는 부분 등의 삼각형 모양으로 구현되는데, 국내 활자 디자인계에서는 '부리'라고 칭하며 일본어로는 '우로코(うろこ[鱗]: 비늘)'라고 부릅니다. 이런 세리프가 있는 서체를 세리프체(serif typeface, serifed typeface) 라 하고, 가로 세로 획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에 굵기가 변화하거나 장식용 삐침(Serif)이 달려있는 서체룰 말합니다.

로마의 트라야누스 머리글자 | 원본 위키피디아

통상적인 세리프 글꼴의 특징은 세로획과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획의 굵기는 굵고, 가로획과 왼쪽으로 기울어진 획은 얇게 만들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절제된 장식으로 인한 품격이 있으며, 한 글자 안에서도 획의 굵기가 변화하기 때문에 생동감이 있습니다. 그리고 장식용 삐침이 독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글씨로 쓰여 있거나 길이가 긴 문서도 읽기 편하며, 따라서 문서의 본문을 표현하는데 적합합니다.

세리프체는 1470년대와 니콜라 장송 Nicolas Jenson 의 로만 타입 Roman Type 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폰트 유형 중 하나입니다. 세리프는 매우 전통적인 인상을 주며, 원래 초기 인쇄 잡지에서 대중화되었습니다. 풍부한 역사와 오랜 사용으로 인해 품격, 낭만 및 세련미를 풍깁니다. 신뢰, 존경, 권위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신뢰할 수 있으며 형식적인 이미지를 만들고자 할 때 많이 쓰입니다.

장식용 삐침의 크기와 방향, 획 굵기의 대비, 글꼴의 기울기 등에 따라 세리프 서체 안에서도 여러 종류의 세부 분류가 존재합니다. 크게 올드(Old) 스타일, 과도기(transitional) 스타일, 모던(Modern) 스타일, 이집션(Egyptian) 스타일 등으로 나뉩니다. 대표적인 세리프 영문 서체로는 Bodoni, Times New Roman, Didot, Georgia, Garamond, Baskerville 등이 있습니다. 한글 서체로는 신명조, 바탕체, 한초롬바탕, 나눔명조, 본명조(Noto Serif KR, Source Han Serif Korean) 등이 있습니다.

세리프와 산세리프 서체의 차이

산세리프 Sans serif

산 세리프 (Sans serif)는 프랑스어 sans serif 에서 세리프(Serif)가 없다(sans) 란 뜻에서 온 것입니다. 세리프(장식용 삐침)가 없는 이런 서체를 산 세리프체 (serif typeface, serifed typeface) 라 하고 컨템퍼러리 스타일(Contemporary style) 이라고도 부릅니다. 산세리프라는 말 자체는 사실 비교적 최근에 자리잡은 용어로, 이전에 영미권에서는 해당 부류의 서체들을 다양한 이름으로 불렀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이름이 바로 고딕체 (Gothic)로,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권에서는 여전히 대용어로 쓰이고 있습니다. 또 '뉴스 고딕', '하이웨이 고딕', '트레이드 고딕' 등의 일부 폰트 이름에서도 쓰입니다.

이 계통의 서체는 획의 시작부터 끝까지 굵기가 변하지 않고 가로획과 세로획이 거의 일정하며, 획의 끝에 장식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획의 굵기가 일정하면서도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굵기가 일정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에 같은 크기의 글꼴에서는 보통 세리프 글꼴에 비해서 획이 굵어집니다. 현대적인 이미지의 서체로 최초의 산세리프 서체는 1816년 윌리엄 캐슬론 4세 William Caslon IV가 디자인 한 캐슬론 이집션 Caslon Egyptian 이라고 합니다.

산세리프(Sans-serif) 서체는 종종 사용되는 문맥과 문제의 특정 서체에 따라 크게 다르지만 다른 서체 유형보다 개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글꼴의 인상이 강하고 직설적인 느낌이므로 제목이나 간판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편 산세리프 서체는 특정 문구를 강조하기 위한 도구로서 쓰이기도 하였는데, 산세리프 특유의 검고 딱딱한 색상과 분위기가 그러한 강조구문에 어울렸기 때문입니다. 이는 특히 서구권의 옛 문서일수록 많이 쓰였습니다.

또, 산세리프 서체는 컴퓨터상의 텍스트에서 적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서체로서 얼마전까지 컴퓨터 모니터의 해상도가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세리프 글꼴의 장식 획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여 모니터로 볼 때에 세리프 글꼴의 시인성이 매우 떨어졌기 때문에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용 글꼴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최근에는 모니터의 해상도가 높아지고 픽셀 밀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된 기기가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세리프 글꼴도 사용비율이 높아졌습니다. 물론 디지털 환경에서는 아직 산세리프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 사용자에게 익숙한 서체가 되었습니다.

세리프 글꼴과 마찬가지로 여러 하위 분류가 존재하여 그 유형에 따라 3~4가지의 계열로 묶입니다. 4개로 나뉘는 것은 '그로테스크 Grotesk' 계열이 일반 그로테스크와 네오그로테스크로 세분될 때의 이야기이며, 크게는 3개로도 볼 수 있습니다.

산세리프로 로마자 i를 대문자로 쓰는 경우 L을 소문자로 쓴 것과 구별이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보통 대문자 i를 소문자 L보다 약간 두껍거나 짧게 쓰지만 여전히 혼동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산세리프 글꼴은 대문자 I (i)에만 특별히 세리프를 추가해서 소문자 l (L)과 확실히 구별하기도 합니다. 또한 소문자 l (L)을 약간 휘게 만들기도 합니다.

산세리프체는 심플하고 간단한 기하학적인 형태의 글꼴로 깨끗하고 현대적인 의미를 지닙니다. 보편적이고 안정적이며 중립적인 느낌을 표현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영문 산 세리프체는 Helvetica, Verdana, Arial, Futura, Gill Sans, ITC Avant Garde, Century Gothic, Myriad, Calibri, Roboto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한글 서체는 굴림체, 한초롬돋움, 나눔고딕, 나눔스퀘어, 본고딕(Noto Sans KR, Source Han Sans Korean) 등이 있습니다.

이탤릭 (Italic)

르네상스 시기 북유럽에서 주로 사용된 블랙레터와 대비되어 이탈리아 전역에서 사용된 폭이 좁고 기울어진 서체를 일컫는 것이 이탤릭 서체입니다. 이후에 현재와 같은 로만 서체가 정착하면서, 강조나 인용문을 표기하기 위한 용도로 이탤릭이 사용되었고 이와 어울리는 이탤릭 글꼴을 짝지어 폰트패밀리로 묶어버린 것이 현재와 같은 이탤릭 글꼴의 시작입니다.

보통 이탤릭이라고 하면 단순히 우측으로 기울어진 글꼴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원래 이탤릭은 독립된 하나의 글꼴이며 일반 서체와 구분해서 따로 디자인합니다. 이와 같은 착각은 디지털 시대에 이탤릭 폰트를 지원하지 않는 서체에 이탤릭을 적용할 경우 원래 폰트를 강제로 우측으로 기울이도록 만들어진 소프트웨어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냥 단순히 글자를 기울이기만 한 것은 오블릭(Oblique)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산세리프 글꼴에는 이탤릭 폰트패밀리가 없어 이탤릭 문법을 사용해도 오블릭으로 표시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번들 폰트인 Calibri 등이 이탤릭을 지원하는 산세리프 폰트입니다. 가변 폰트에서 이탤릭은 보통 ital 속성을 사용하며, 기울이는 속성인 slnt 와 구분됩니다. TeX는 기본이 이탤릭체인 서체로 정체를 사용하려면 오히려 별도의 명령어를 적용해야 합니다.

슬랩 세리프 (Slab serif)

슬랩 세리프(Slab serif) 서체는 산세리프를 중심으로 세리프의 장식을 융합한 서체로 강렬하고 두껍고 둥글거나 각진 세리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블록 모양이 전통적인 세리프 및 산세리프 서체보다 눈길을 사로 잡기 때문에 초기 신문 광고에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슬랩 세리프는 ‘Egyptian’, ‘Square Serif’, ‘Mechanic’, ‘Antique’ 로도 불립니다. 산업혁명 시대에 로버트 손(Robert Thorn)이 슬랩 세리프 활자를 개발하고 명명한 ‘이집션(Egyptian)’은 이집트의 건축 양식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

슬랩 세리프의 단점은 블록 모양의 거대하고 다른 서체를 압도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서체와 짝을 이루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헤드라인이나 제목과 같은 짧은 텍스트에 가장 적합합니다. ‍강하고 볼드한 글꼴로 제목에 주로 사용되며, 트렌디한 느낌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영문 서체는 Rockwell, Courier, Museo, Clarendon, Bevan 등이 있습니다. 한글 서체로는 산돌구름에서 제작한 곧은부리 서체가 있습니다.

슬랩 세리프 서체 - Rockwell

스크립트 (Script), 커시브 (Cursive), 필기 (Handwriting)

스크립트(Script), 커시브(Cursive), 필기(Handwriting) 서체는 손으로 글자나 노트를 받아 쓰기 위해 고안된 손으로 쓴 필체를 말합니다. 컴퓨터 글꼴의 한 종류로서의 손글씨체는 세리프형의 비트맵 글꼴 중 하나로, 이름 그대로 필기체를 기반으로 한 비트맵 글꼴입니다. 이런 서체는 로고 디자인 같은 항목, 예를 들면 코카콜라(Coca-Cola) 로고 같은 것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서체는 매우 다양하며 매우 여성스럽고 느긋한 느낌에서 캐주얼한 느낌, 매우 형식적인 느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느낌을 불러 일으킬 수 있습니다.

친근하고 크리에이티브한 스타일을 가졌지만, 중요한 것은 읽기 쉬운지 가독성에 신경을 써야 하는 글꼴입니다. 헤드라인, 제목 및 로고에는 적합하지만 큰 텍스트 블록이나 읽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는 작은 크기에서는 잘 작동하지 않습니다. 영어 폰트의 경우, 스타일에 따라 우아하고 세련되고 장식적인 느낌과 고전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한글 폰트의 경우, 손글씨의 느낌이 강한 서체가 많으며 그래서 친숙하고 개인적이며 흥미로운 감성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영문 서체는 obster, Zapfino, Pacifico, Lucida, Brush Script 등이 있습니다. 한글 서체로는 필기체, 나눔 손글씨 붓체, 나눔 손글씨 펜체 등이 있습니다.

스크립트 서체 - Brush Script

고정 폭 (Monospaced)

고정 폭(Monospaced) 서체의 문자는 각각 동일한 양의 수평 공간을 차지합니다. 고정폭 폰트, 비례 글꼴, 비례폰트, 모노타입(Mono Type) 등으로 불리는 서체입니다. 이것은 문자의 실제 너비에 따라 각 문자가 고유한 비례 간격을 갖는 다른 종류의 서체와 대조됩니다. 고정 폭 서체는 비례 서체보다 스캔하기가 더 쉽고 실수를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 코드 같은 것에 자주 사용됩니다. 전반적으로 비례 서체보다는 가독성이 낮습니다.

고정폭 서체 - Courier

디스플레이 (Display)

디스플레이(Display) 서체는 다양한 서체 및 폰트 스타일에서 영감을 얻기 때문에 거의 모든 경우 또는 디자인 유형을 위한 디스플레이 서체가 있습니다. 이 유형의 서체들은 산업 혁명 중에 처음 등장했으며 원래 포스터와 상업 인쇄에 가장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현대 UX 디자인에서는 일반적으로 헤드라인과 제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독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디자이너는 디스플레이 글꼴을 사용하여 특정 테마를 따르고 그에 따라 표시 글꼴을 선택하여 페이지에 분위기를 만듭니다. 디스플레이 글꼴은 텍스트 사본에 비해 눈에 띄고 더 큰 크기로 적용됩니다. 현재 일부 세리프 서체는 디스플레이 버전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습니다. serif 텍스트와 serif 디스플레이의 차이점은 주로 소문자의 x 높이에 있습니다. 텍스트 세리프는 x 높이가 더 높고 세리프가 더 눈에 띄기 때문에 문자를 더 쉽게 식별 할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서체는 작은 크기에서는 읽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본문에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디스플레이 서체 - Broadway

딩뱃 (Dingbats)

딩뱃(Dingbats) 서체는 실제 텍스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딩뱃(dingbats)은 이모티콘같이 작은 이미지들의 조합을 서체로 만든 것입니다. 딩뱃(Dingbat) 서체는 픽토그램과 비 알파벳 기호로 구성되며 때로는 활자체 장식품이라고도 합니다. 읽을 수 있는 텍스트 콘텐츠에는 사용되지 않지만 글 머리 기호, 테두리, 확인란 또는 장식 요소와 같은 기능적 인쇄 상의 용도가 있습니다.

딩뱃 서체 - Pierre Dingbats

서체 스타일

사용할 특정 유형의 서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해당 서체에 사용되는 스타일은 해당 서체가 인식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고 사용자 경험을 돕거나 방해할 수 있습니다.

서체의 크기

서체의 크기는 글자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성인용 서적의 경우 8-10 포인트 크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크기에 관한 단위는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서 width, height 등의 크기를 포인트(pt : points), 픽셀(px : pixels), 파이카(Pica), 엠(em), 엑스(ex : x-height), 퍼센트(%: percent)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체의 굵기

두께는 서체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글자의 굵기는 글자가 지니는 중량을 의미하며, 보통 한글 서체일 경우는 L(light)-M(medium)-B(bold) 체계, 영문 서체의 경우 R(regular)-B(bold) 체계를 적용합니다.

서체의 두께는 씬(thin), 헤어라인(hairline) 또는 라이트(light)에서 블랙(black), 헤비(heavy)까지 다양하며 그 사이에 많은 가중치가 있습니다. 웹 디자인의 CSS에서는 폰트 두께를 100–900 사이에서 설정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건 볼드(Bold)와 레귤러(Regular)입니다.

Regular 는 가장 중립적인 폰트이며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서체에서 기본값입니다. 일반 폰트는 너무 두껍거나 너무 얇지 않습니다. 이 폰트는 많은 읽기가 필요한 큰 텍스트 구절에 적합합니다. 헤드라인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표시되지는 않습니다.

Bold 는 레귤러 다음으로 가장 일반적인 폰트 두께입니다. 더 어둡고 두꺼운 획으로 주변 텍스트에서 눈에 띄는 이러한 능력으로 인해 사용자의 관심을 끌고 싶은 부분이나 헤드라인을 강조하는 데 탁월합니다. 강조를 위해 굵은 폰트를 사용할 때는 신중을 기하십시오. 모든 것에 주의를 끌려고 하면 결국 아무것도 주의를 끌지 못합니다.볼드체가 텍스트를 강조하는 유일한 방법은 아닙니다. 이탤릭 폰트는 더 미묘한 경향이 있지만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굵은 폰트와 마찬가지로 몇 단어나 문장만 강조하기 위해 아껴서 사용해야 합니다.

넓이와 각도

넓이란 글자의 폭을 말하며, 길죽한 모양의 장체와 납작한 모양의 평체로 구분되며 장평이라 부릅니다. 글자의 각도란 기울임이나 글자의 각도를 의미하며 정체와 사체(기울어진 이탤릭체)로 구분됩니다.

이탤릭 Italic 은 기울임꼴 폰트, 또는 사선 폰트는 기울어져 보이고 스크립트의 필기체와 비슷합니다. 강조 효과 외에도 일반적으로 영화, 책 또는 연극과 같은 제목에 사용됩니다. 강조에 사용할 볼드 또는 이탤릭을 브라우저에서 로드할 수 없을 때 브라우저는 선택한 폰트 스타일을 로드할 수 없는 경우, 가상 스타일(faux style)을 삽입해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포토샵 등의 디자인 프로그램에서도 가상 스타일(faux style) 기능이 적용 가능합니다.

가상 스타일을 사용하면 볼드와 이탤릭을 모방하기 위해 원래의 글꼴에는 없는 형태로 글자가 늘어나거나 기울어집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것은 텍스트의 가독성을 크게 저하시키고 디자인의 의도를 손상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디자인에 굵은 폰트 또는 기울임 꼴 폰트를 사용하려는 경우 해당 스타일을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체, 즉 트루 스타일(true style) 폰트를 선택해야 합니다. 트루 스타일 폰트에는 기본 볼드 및 이탤릭 버전의 서체가 있습니다(추가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웹 폰트를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가중치가 모두 CSS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브라우저가 여전히 가짜 스타일 폰트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영문 서체에서 알아두어야 할 용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 용어들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타이포그래피를 시작하는데 좋은 출발점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다음 뉴스레터에서는 한글 서체에 대해 알아두면 좋은 점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다음 뉴스레터 에서 만나요!

누구나 하는 디자인 : 마라 스튜디오 클래스
마라스튜디오는 왕초보를 위한 디자인 도구 교육 채널입니다. 누구나 쉽게 디자인 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마라입니다. 마라스튜디오 채널은 왕초보를 위한 디자인 만들기 정보 채널입니다. 포토샵이 없어도 쉽게 디자인 할 수 있는 디자인 플랫폼을 사용하는 방법, 꼭 필요한 그래픽 디자인 관련 지식들, 나만의 디지털 콘텐츠를 직접 만드는 방법을 강의합니다. 저는 오랫동안 학원에서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웹디자인 강의를 했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마라 스튜디오만의 강의 시스템을 만들어 가는 중입니다. 이 채널은 디지털 콘텐츠를 처음 만드는 초보자를 대상으로 실제 사용 면에서 유익한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기획된 프로젝트입니다. 좋은 영상으로 여러분께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꾸준히 진행하겠습니다. 질문이 있으시면 영상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거나 오픈카톡방에 올려주세요. 오픈 카톡방에서는 더 다양한 정보와 소식들이 자주 공유될 예정입니다. [강의 학원 경력] 종로 하이미디어,신촌 더좋은,강남 더좋은, 직업학교 등 [자격 사항] 컴퓨터 그래픽스 운용기능사 시각디자인 산업기사 웹 디자인 기능사 Adobe ACA Photoshop Adobe ACA Illustrator 🚩 마라스튜디오 오픈카톡방 : 오픈카톡방 입장하기 https://open.kakao.com/o/gqy4skGf 👆 🚩 마라스튜디오 홈페이지 : https://marastudio.kr/ 👆 🚩 마라스튜디오 블로그 : https://blog.naver.com/mara-studio 🚩 마라스튜디오 뉴스레터 신청 : 마라스튜디오 뉴스레터 : https://marastudio.ghost.io/ 📍 마라스튜디오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mara.studio.class/